[순서도 그리기 예제 2번]
-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두 수를 변수 a와 b에 저장하고, 두 변수를 더한 값과 곱한 값 출력
a = input("a: ")
b = input("b: ")
a = int(a)
b = int(b)
print(a+b, a*b)
[순서도 그리기 예제 3번]
- 두 수를 입력받아 변수에 저장하고, 두 수를 나눈 몫을 구하는 연산자인 //과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인 %를 이용해서 두 수의 몫과 나머지를 구하여 출력
- /는 나누기 연산자이고 //는 나눈 몫을 구하는 연산자
a = input("a: ")
b = input("b: ")
a = int(a)
b = int(b)
print(a // b, a % b)
[순서도 그리기 예제 4번]
- 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
- 사각형의 넓이 = 가로의 길이 × 세로의 길이
- 사각형의 가로, 세로의 길이에 해당하는 임의의 두 정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변수에 저장하고, 사각형 의 넓이를 구하여 출력
height = input()
width = input()
height = int(height)
width = int(width)
area = height * width
print(area)
[순서도 그리기 예제 6번]
- 3개의 성적을 입력받아 a, b, c에 저장하고 이들의 합과 평균을 구해 출력
a = input()
b = input()
c = input()
a = int(a)
b = int(b)
c = int(c)
sum_ = a + b + c
mean = sum_ / 3
print(sum_, mean)
[순서도 그리기 예제 7번]
- 183cm를 미터와 센티미터로 변환하면 1m 83cm가 된다.
- 여기서 미터에 해당하는 1은 183을 100으로 나눈 몫이고, 센터미터에 해당하는 83은 183을 100으로 나눈 나머지이다.
- 이런 방법을 이용해서 m는 cm//100로, cm는 cm%100로 구할 수 있고, 이렇게 구해진 m와 cm를 출력한다.
height = input("키를 입력해주세요: ")
height = int(height)
height_m = height // 100
height_cm =height % 100
print(height_m, height_cm)
[순서도 그리기 예제 8번]
- 1시간은 3600초임을 이용해서 먼저 초를 3600으로 나눈 몫을 구하는 연산을 이용해서 시 간에 해당되는 값을 구한다.
- 그 다음 초를 3600으로 나눈 나머지 연산을 이용하여 시간으 로 변환되고 남은 초를 구한다.
- 초를 60으로 나눈 몫으로 분에 해당되는 값을 구하고, 초 를 60으로 나눈 나머지로 초에 해당되는 값을 구한다.
time_ = input("초를 입력해주세요: ")
time_ = int(time_)
time_hour = time_ / 3600
time_minutes = (time_ & 3600) / 60
time_seconds = (time_ & 3600) % 60
print(time_hour)
print(time_minutes)
print(time_seconds)
[순서도 그리기 예제 10번]
- 양수, 0, 음수 판별하기
-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수를 변수 a에 저장하고, a가 0보다 작으면 “음수”를, 그렇지 않고 0보다 크면 “양수”를, 그렇지 않으면 “0”을 출력
a = input("정수 a를 입력해주세요: ")
a = int(a)
if a < 0:
print("음수")
elif a > 0:
print("양수")
else:
print("0")
[순서도 그리기 예제 11번]
- 세 수 중 가장 큰 수 찾기(1)
- a가 b보다 크고 a가 c보다 크면 a가 가장 큰 수가 되고, a가 b보다 크고 a가 c보다 크지않으면 c가 가장 큰 수가 된다. a가 b보다 크지 않고 b가 c보다 크면 b가 가장 큰 수가 되고, a가 b보다 크지 않고 b가 c보다 크지 않으면 c가 가장 큰 수가 된다.
a = input("a를 입력해주세요: ")
b = input("b를 입력해주세요: ")
c = input("c를 입력해주세요: ")
a = int(a)
b = int(b)
c = int(c)
if a > b:
if a > c:
print("a가 가장 큰 수")
else:
print("c가 가장 큰 수")
else:
if b > c:
print("b가 가장 큰 수")
else:
print("c가 가장 큰 수")
[순서도 그리기 예제 12번]
- 세 수 중 가장 큰 수 찾기(2)
- 사용자로부터 첫 번째 수를 입력받아 max에 저장한다. 두 번째로 입력받은 수 a와 max를 비교하여 a가 max보다 크면 max에 a를 저장한다. 세 번째 수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수행한다. 결구 가장 큰 수가 max에 저장된다.
max_ = input("max를 입력하세요: ")
a = input("a를 입력하세요: ")
max_ = int(max_)
a = int(a)
if a > max_:
max_ = a
b = input("b를 입력하세요: ")
b = int(b)
if b > max_:
max_ = b
print(max_)
else:
print(max_)
# 순서도 그리기 예제 12 --> max 함수를 사용해서 바로 찾을 수 있음.
numbers = []
max_ = input("숫자를 입력해주세요")
numbers.append(int(max_))
a = input("숫자를 입력해주세요")
numbers.append(int(a))
b = input("숫자를 입력해주세요")
numbers.append(int(b))
print(max(numbers))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5.02.28] 순서도 그리기_3_반복문 (0) | 2025.03.01 |
---|---|
[2025.02.28] 순서도 그리기_2 (0) | 2025.02.28 |
[2025.02.27] 함수 (0) | 2025.02.27 |
[2025.02.25] 모듈 (0) | 2025.02.25 |
[2025.02.25] 집합 자료형, 불 자료형 (0) | 2025.02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