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순서도 그리기 예제 13]
- 홀수, 짝수 판별하기
-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수를 2로 나누었을 때, 나머지가 0이면 "짝수", 나머지가 0이 아니면 "홀수"이다.
- 예를 들어 입력받은 수가 10 이라면 2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 된다. 따라서 10은 "짝수"가 된다.
- 만약 입력받은 수가 15라면 2로 나누었을 때, 나머지가 1이 되어 0이 아니므로 15는 "홀수"가 된다.
a = input("정수 1개를 입력해주세요: ")
a = int(a)
if a % 2 == 0:
print("짝수")
else:
print("홀수")
[순서도 그리기 예제 14]
- 3의 배수 판별하기
-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이면 입력받은 수는 3의 배수이고, 그렇지 않으면 3의 배수가 아니다.
- 예를 들어, 10은 3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이 아니므로 3의 배수가 아니다.
- 반면 15는 3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이므로 15는 3의 배수가 된다.
a = input("정수 1개를 입력해주세요: ")
a = int(a)
if a % 3 == 0:
print("3의 배수")
else:
print("3의 배수 아님")
[순서도 그리기 예제 15]
- 나이에 따른 입장료
- 입장료 정가가 5000원인 경우 나이에 따른 요금체계가 다음과 같은 경우 나이를 입력 받아 입장료를 구한다.
- 입력 받은 나이가 8미만이면 “0”, 그렇지 않고 60미만이면 정가인 5000, 그렇지 않으면 정가의 50%인 2500을 출력한다.
age = input("0보다 큰 정수를 입력하세요: ")
age = int(age)
if age < 8:
print("무료")
else:
if age < 60:
print("5,000원")
else:
print("2,500원")
[순서도 그리기 예제 16]
- 3의 배수이면서 5의 배수 판별하기
-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이고 5로 나눈 나머지도 0이면 3의 배수이면서 5의 배수이다.
- 예를 들어, 10은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1이 되어 0이 아니다. 따라서 10은 3의 배수이면서 5의 배수가 아니다.
- 반면 15는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 되고, 5로 나누었을 때도 나머지가 0이 되므로 15는 3의 배수이면서 5의 배수가 된다.
a = input("정수 1개를 입력하세요: ")
a = int(a)
if a % 3 == 0 and a % 5 == 0:
print("3의 배수이면서 5의 배수")
else:
if a % 3 == 0:
print("3의 배수")
elif a % 5 == 0:
print("5의 배수")
else:
print("3의 배수도 5의 배수도 아님")
[순서도 그리기 예제 17]
- 나이에 따른 공원입장료
- 나이에 따른 공원 입장료는 다음과 같다.
입력 받은 나이가 8미만이거나 60세 이상이면 “무료”를 출력하고, 그렇지 않으면 “5000원”을 출력한다.
age = input("양의 정수 1개를 입력하세요: ")
age = int(age)
if age < 8 or age >= 60:
print("무료")
else:
print("5,000원")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5.03.01] 숫자야구 게임 만들기 (0) | 2025.03.04 |
---|---|
[2025.02.28] 순서도 그리기_3_반복문 (0) | 2025.03.01 |
[2025.02.27] 순서도 그리기_1 (0) | 2025.02.27 |
[2025.02.27] 함수 (0) | 2025.02.27 |
[2025.02.25] 모듈 (0) | 2025.02.25 |